전체 글106 연차휴가 부여방법 알아보기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에게 근로제공기간의 조건을 충족하면 일정기간 근로제공의 의무를 면제해 주어 육체적이나 정신적으로 휴식의 기회를 제공하고, 근로자 개인의 문화생활 등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근로기준법 상에 연차유급휴가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연차휴가에 대해서 간략하게 핵심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A. 관련 법 규정[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01.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02.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03. 해당 조항(삭제됨)04.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2024. 10. 23. 유급휴일의 정의와 종류 연속된 근로에서 발생하는 근로자의 피로를 해결하고 보다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법에서 규정된 유급휴일에 대해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유급휴일의 정의와 종류 및 주휴수당의 산정방법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A. 관련 법 규정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가.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나.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일을 유급으로 보장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 특정한 근로일로 대체할 수 있다.B. 휴일의 정의와 종류 및 적용대상가. 휴일의 정의 - 근로자가 사업주와의 근로계약에 따라 근로를 제공할 의무가 없는 날로서, 사용자의 감독, 지휘명령에서 완전히 벗어나서 근로를 제공하지 않아도.. 2024. 10. 22. 휴게시간 부여방법 알아보기 근로자가 계속적으로 근로할 경우 피로가 누적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질 수도 있고, 각종 안전사고로 인한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상에는 근로자에게 근로시간 도중에 적정한 휴게시간을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휴게시간의 정의와 어떻게 휴게시간을 부여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A. 관련 법 규정 [근로기준법 제54조(휴게)] 가. 제54조(휴게) 1)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을, 근로시간이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한다. 2) 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B. 휴게시간의 정의 및 부여방법가. 휴게시간의 정의 - 근로시간 '도중'에 근로자가 사용자 또는 .. 2024. 10. 21. 연장근로와 주52시간제 및 유연근무제에 대해서 알아보기 장시간 근로는 현대사회의 화두로서 근로자의 건강한 생활을 저해하고 기업에는 투입되는 노동력 대비 생산성이 상승되지 않는 근로의 질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업에서는 비용대비 경영성과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기에 근로기준법에서는 연장근로를 일정한도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연장근로의 제한과 많이 들어보셨을 주 52시간 제도의 의의와 유연근무제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A. 관련 법 규정 [근로기준법 제53조(연장 근로의 제한)] 1)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에 12시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2)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1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제52조 제2호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간에.. 2024. 10. 20. 근로기준법에 정해진 근로시간에 대해서 알아보기 현재 대한민국 근로자의 장시간 근로에 대한 문제는 사회적 화두로 매스컴에서 여러 번 그 내용에 대해서 다뤄지고 있습니다. OECD가입 회원국 중 항상 상위권에 있으며, 장시간의 근로는 근로자의 건강한 생활을 저해함은 물론 오히려 생산성은 저하되는 악순환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주 35시간도 얘기되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근로시간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 및 몇 가지의 사례를 통해서 근로시간을 조금 더 깊숙이 파헤쳐 보겠습니다.A. 관련 법 규정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1)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2)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3)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근로시간을 산.. 2024. 10. 19.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시 가산임금 계산방법 알아보기 근로자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사업주에게 근로를 제공할 때 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를 실시한 경우에는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해서 지급해야 합니다. 사업주에게 추가적인 임금을 부담하도록 해서 근로자에게 장시간 근로를 하지 못하도록 유도하고, 근로자의 휴식권 및 건강권을 보다 더 보장해 주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연장근로, 야간근로 및 휴일근로를 실시할 때 발생하는 가산임금의 산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A. 관련 법 규정 [ 근로기준법 제56조(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 ]가.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 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함)에 대해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한다.나.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해서는 .. 2024. 10. 1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