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 Worker Ant

알기쉬운 인사노무53

사직서 제출시 퇴직효력이 발생하는 시기 알아보기 일반적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면서 계약서상에 종료기간이 명시된 경우이거나 또는 취업규칙 등에 규정된 정년이 도래하여 자동적으로 퇴직의 효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아닌 근로자의 사직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언제 퇴직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퇴직 관련 효력 발생시기의 중요성일반적으로 근로자가 사직서를 제출하고 사업주는 그러한 사직서를 받고 근로자가 요청한 일자에 퇴직을 승인하고 퇴직처리를 하면 크게 문제가 없지만 인사 실무를 하다 보면 여러 가지 경우가 발생합니다. 근로자의 갑작스러운 사직서 제출로 인하여 인력과 업무상의 공백을 우려하여 회사 측에서 사직서 수리를 거부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또는 근로계약서 상에 상호 간에 근로계약의.. 2024. 12. 18.
주휴수당 발생조건 알아보기 주휴수당은 1주간의 근로조건을 충족하게 되면 근로자에게 1일을 유급으로 보장하는 제도로서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주휴수당의 개념과 주휴수당의 발생조건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주휴수당의 개념 및 발생조건01. 주휴수당이란? - 1주간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1일의 주휴일을 부여하고 해당 주휴일은 유급으로 보장하는 제도를 뜻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주휴수당은 근로를 제공하는 1주 단위마다 발생하는 수당으로, 1주간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하게 되면 근로자가 주휴일에 근로를 제공하지 않더라고 1일의 통상임금을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02. 관련 법 규정[근로기준법 제60조(휴일)]01)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상기의 근로기준법 상의 1회의 유.. 2024. 12. 18.
무단결근자 해고가 가능한지 알아보기 사업주와 근로자 상호 간의 근로계약에 따라서 근로자는 성실하게 근로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다만, 간혹 실무상 근로자의 무단결근이 장기간 또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징계절차에 들어가서 최대 해고를 의결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근로자의 무단결근에 따라서 회사에서 징계의 최고 수준인 해고를 실시하여도 무방 한 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단결근의 정의01. 무단결근이란?통상적으로 근로자가 본인의 사정으로 근로계약상의 근로제공일에 출근하지 못하는 경우에 이를 "결근"이라고 합니다. 다만 이는 근로자가 본인에게 부여된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로서 사업주와 사전 또는 사후에 합의가 된 경우에 해당되고, 반대로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가 없고 사업주와 합의(승인)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근로제공일에 결.. 2024. 12. 17.
4대보험상실 및 퇴직금 등 산정시 퇴직일 또는 상실일의 구분방법 실무적으로 사업장에 소속된 근로자가 회사를 그만두게 되는 경우 퇴사, 퇴직, 이직 등 다양한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퇴직일 관련 용어는 인사담당자가 퇴사 관련 신고업무에서 그 뜻하는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오늘은 퇴직일을 뜻하는 여러 가지 용어의 정확한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직일"의 정의보통 "퇴직일"이라 함은 사업주와 근로자 간에 별다른 특약사항이 없는 이상 "마지막 근로를 제공한 근로일의 다음날"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만일 근로자가 2024년 11월 31일까지 근로를 제공하고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다고 하면 퇴직일자는 2024년 12월 01일이 됩니다. 01. 관련 노동부 행정해석[퇴직일의 계속근로년수 산입에 관한 행정해석(2000.12.22. 근기 68201-3970)]0.. 2024. 12. 16.
주52시간 근무제도 자세히 알아보기 회사생활을 하는 직장인이라면 많이 들어보셨을 "주 52시간"근무제도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주에 근로자가 근로할 수 있는 최대 근로시간은 어떻게 되는지 휴일근로와 연장근로가 구분이 되는 것인지 등 주 52시간제 근로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주 52시간 제도01. 주 52시간 제도란? - 2018년 07월에 시행된 근로기준법에 따라서  근로자의 1주간의 근로시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법정근로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을 모두 합하여 52시간 이내로 하도록 규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02. 관련 법 규정 가. 근로기준법[제50조(근로시간)] 1)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나. 근로기준법[제53조(연장 근로의 .. 2024. 12. 14.
급여 지급 시 본인이 아닌 타인 명의 계좌로 지급 가능여부 급여 실무를 담당하다 보면 근로자분들의 개인적인 요청으로 본인 명의가 아닌 타인의 계좌로 급여를 지급해 달라고 요청을 받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근로자의 요청을 회사는 들어주어야 하는지 타인 명의의 계좌로 급여를 지급하게 돼도 문제가 없는 것인지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금지급의 4대 원칙01. 임금지급 관련 법 규정[근로기준법 제43조(임금지급)] 01)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할 수 있다. 02)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임시로 지급하는 임금, 수당, 그 밖에 이에 준하는 .. 2024.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