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1 무단결근자 해고가 가능한지 알아보기 사업주와 근로자 상호 간의 근로계약에 따라서 근로자는 성실하게 근로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다만, 간혹 실무상 근로자의 무단결근이 장기간 또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징계절차에 들어가서 최대 해고를 의결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근로자의 무단결근에 따라서 회사에서 징계의 최고 수준인 해고를 실시하여도 무방 한 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단결근의 정의01. 무단결근이란?통상적으로 근로자가 본인의 사정으로 근로계약상의 근로제공일에 출근하지 못하는 경우에 이를 "결근"이라고 합니다. 다만 이는 근로자가 본인에게 부여된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로서 사업주와 사전 또는 사후에 합의가 된 경우에 해당되고, 반대로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가 없고 사업주와 합의(승인)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근로제공일에 결.. 2024. 12. 17. 4대보험상실 및 퇴직금 등 산정시 퇴직일 또는 상실일의 구분방법 실무적으로 사업장에 소속된 근로자가 회사를 그만두게 되는 경우 퇴사, 퇴직, 이직 등 다양한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퇴직일 관련 용어는 인사담당자가 퇴사 관련 신고업무에서 그 뜻하는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오늘은 퇴직일을 뜻하는 여러 가지 용어의 정확한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직일"의 정의보통 "퇴직일"이라 함은 사업주와 근로자 간에 별다른 특약사항이 없는 이상 "마지막 근로를 제공한 근로일의 다음날"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만일 근로자가 2024년 11월 31일까지 근로를 제공하고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다고 하면 퇴직일자는 2024년 12월 01일이 됩니다. 01. 관련 노동부 행정해석[퇴직일의 계속근로년수 산입에 관한 행정해석(2000.12.22. 근기 68201-3970)]0.. 2024. 12. 16. 작업환경측정 대상 및 측정주기 알아보기 사업장 내 근로자가 작업하는 현장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유해인자의 수준이 어떻게 되는지 관리하기 위해서 측정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환경측정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업환경측정의 정의01. 작업환경측정이란? -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는 사업장의 작업환경 상태를 확인하고,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가 있는 사업장에 대한 측정계획을 세우고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을 통해서 해당 작업장의 위험정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 다양한 유해인자(소음, 분진, 유기용제 및 중금속 등)가 유발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25조에 따라서 법에서 정해진 작업환경측정을 진행하여야 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환경을 개선해야 합니다. 작업환경측정 대상작업환경측정.. 2024. 12. 15. 특수건강검진 대상 및 실시주기 알아보기 사업장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해물질에 의해서 건강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해물질 등이 발생하는 사업장의 사업주에게는 의무적으로 작업환경측정을 진행하도록 하여야 하며, 이러한 작업환경결과를 토대로 하여 주기적으로 근로자의 건강검진을 진행하게 됩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이러한 특수건강검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수건강검진의 정의01. 특수건강검진이란? -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된 것으로 근로자의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인자로 인한 근로자의 건강상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검진으로 사용주가 비용부담을 하여 진행하게 됩니다. 02. 특수건강검진의 종류구 분내 용특수건강검진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건강검진배치전 특수건강검진특수건강검진.. 2024. 12. 15. 주52시간 근무제도 자세히 알아보기 회사생활을 하는 직장인이라면 많이 들어보셨을 "주 52시간"근무제도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주에 근로자가 근로할 수 있는 최대 근로시간은 어떻게 되는지 휴일근로와 연장근로가 구분이 되는 것인지 등 주 52시간제 근로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주 52시간 제도01. 주 52시간 제도란? - 2018년 07월에 시행된 근로기준법에 따라서 근로자의 1주간의 근로시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법정근로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을 모두 합하여 52시간 이내로 하도록 규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02. 관련 법 규정 가. 근로기준법[제50조(근로시간)] 1)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나. 근로기준법[제53조(연장 근로의 .. 2024. 12. 14. 급여 지급 시 본인이 아닌 타인 명의 계좌로 지급 가능여부 급여 실무를 담당하다 보면 근로자분들의 개인적인 요청으로 본인 명의가 아닌 타인의 계좌로 급여를 지급해 달라고 요청을 받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근로자의 요청을 회사는 들어주어야 하는지 타인 명의의 계좌로 급여를 지급하게 돼도 문제가 없는 것인지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금지급의 4대 원칙01. 임금지급 관련 법 규정[근로기준법 제43조(임금지급)] 01)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할 수 있다. 02)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임시로 지급하는 임금, 수당, 그 밖에 이에 준하는 .. 2024. 12. 14. 이전 1 2 3 4 5 ··· 14 다음